본문 바로가기
정부제도•혜택

7월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가입조건 자격, 가입방법

by 몽글뭉글 Nara 2025. 7. 8.
반응형

 

직장생활을 해도 돈 모으기 쉽지 않은 요즘,

2030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위한 '청년도약계좌' 7월 신청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본인이 매달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가 매달 지원금을 더해주고 비과세 혜택도 제공되기 때문에 조건에 맞는다면 신청하지 않을 수 없겠죠? 

 

매월 정해진 기간에 신청을 받고 있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자격요건부터 신청방법까지 핵심 정보면 쉽게 알려드립니다.

7월 신청 기간은 얼마 안 남았으니 이번 달에 신청하시는 분들은 꼼꼼히 읽어주세요!

📌 목차

● 청년도약계좌란?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자격

    • 조건∙자격

    • 유지심사

● 청년도약계좌 가입혜택

    • 가입혜택

    • 정부기여금

●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신청방법

    • 신청기간

    •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 및 가입조건 자격, 가입방법

📝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란 자산가격 상승 등으로 생활·주거 안정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정부가 마련한 상품입니다.

 5년 동안 저축하면, 정부가 해당 금액의 일부를 추가 적립해주는 제도로 단순히 본인의 저축만이 아닌 국가가 함께 저축해 주는 계좌라는 점이 가장 큰 특징으로 단기 저축 목적이 아닌 장기 자산 형성형 정책 통장으로, 주택 마련이나 결혼, 창업 등 미래 계획에 필요한 자금을 모으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 만기 시 최대 수령 가능 금액: 약 5천만 원
  • 정부 기여금: 최대 월 3만3천 원
  • 가입 기간: 5년
  • 혜택: 이자소득 비과세 + 정부지원금

서민금융진흥원 '청년도약계좌' 혜택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자격

조건∙자격

아래 4가지의 요건을 모두 충족해야지만 청년도약계좌에 가입이 가능합니다.

1. 연령

  •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19세 ~ 만 34세 이하 

  💡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빼고 계산

2. 개인 소득

  • 직전 년도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세전 기준)
  •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3. 가구 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4. 금융소득 과세 여부

  • 가입일이 속한 과세기간의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에 해당하지 않는 자

 

<2025년 기준 중위소득 250%>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250%(연)
1인 가구 5,980,033
2인 가구 9,831,645
3인 가구 12,563,383
4인 가구 15,244,433
5인 가구 17,770,480
6인 가구 20,162,013

 

 

📑 유지심사

가입(계좌개설) 후 1년 단위로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을 재산정하며, 이를 위해 가입자의 개인소득을 재확인합니다.

 

개인소득 확인⭕, 가구소득은 확인하지 않음

☑ 개인소득 증빙 서류는 제출하지 않아도 됨(행정정보공동이용서비스(국세청)를 활용하여 개인소득을 확인)

☑ 단, 비과세소득(육아휴직급여(수당) 또는 군 장병급여) 해당자는 제출 필요

개인소득구간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급비율이 재산정
    • 개인소득이 ‘총 급여 6000만원(종합소득 4800만 원) 초과’ 또는 ‘소득 없음’으로 확인될 경우 ➡︎ 정부기여금은 미지급

 

👉 2023년 7월 5일 가입 예시 (일반 가입자 기준)

      2024년부터 매년 7월마다 유지심사 진행 > 유지심사 결과 유지심사 월의 익월(8월)부터 다음연도 유지심사월(7월)까지 1년 동안 적용

 

💸청년도약계좌 가입혜택

◼️ 가입혜택

  • 가입기간: 5년 (60개월/ 자유적립식/ 만기연장 없음)
  • 납입금 한도: 월 최대 70만 원
  • 정부 기여금: 월 최대 3만 3천 원
  • 이자소득세: 비과세
  • 3년 고정금리 + 2년 변동금리
    * 총 급여 기준 개인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소득+우대금리(저소득층 우대금리)가 부여됩니다.

☑  총급여 6,000만 원 이하정부기여금 지급+비과세 적용
☑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 → 비과세 적용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비교

 

◼️ 정부기여금

기존 2025년 변경(개선)
개인소득 월 최대 기여금 개인소득 월 최대 기여금
2,400만 원 이하 24,000 2,400만 원 이하 (+9,000 )
33,000
2,400만 초과 3,600만 이하 23,000 2,400만 초과 3,600만 이하 (+6,000  )
29,000
3,600만 초과 4,800만 이하 22,000 3,600만 초과 4,800만 이하 (+3,000 ↑ )
25,000
4,800만 초과 6,000만 이하 21,000 4,800만 초과 6,000만 이하 21,000

 

☑ 개인소득 연 2,400만 원 이하자가 월 70만 원을 납입한다면? 

    5년간 납입 가정, 기본금리 4.5% 동일 납입금에 대해 만기시 약 60만 원 증가(이자포함)

 

청년도약계좌 가입 혜택 정부 기여금

 

☑ 정부기여금의 경우 소득구간 및 월 납입하는 금액에 따라 매칭되는 비율이 달라집니다.

 

☑ 연봉 4,800만 원 직장인 경우 월 70만 원 적금 시 

  • 60만 원 x 3.7% = 22,200원
  • 10만 원 x 3% - 3,000원
    👉 총 25,200원이 정부기여금으로 책정   

 

 

 

 

 

 

 

 

📅 청년도약계좌 신청기간∙신청방법

◼️ 신청기간

청년도약계좌 7월 신청기간 및 일정

  • 신청기간: 2025년 7월 1일(화) ~ 11일(금)까지
  • 가입요건확인: 7월 14일(월) ~ 25일(금)
  • 계좌 개설 일정 (가입 승인이 떨어진 경우)
      ⑴ 1인 가구: 7월 17일(목) ~ 8월 8일(금)
      ⑵ 2인 이상 가구: 7월 28일(월) ~ 8월 8일(금)

 

◼️ 신청방법

  • 신청방법: 각 취급은행 앱에서 신청 가능
  • 자격심사: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자동 진행
  • 계좌개설: 심사 통과 후 해당 은행에서 청년도약계좌 개설

가입신청 → 가입요건 확인 → 가입 가능여부 안내 → 계좌개설
* 가입신청 마지막일로부터 약 2주 소요

취급은행별 상품 금리 및 정보
IBK 기업은행 NB농협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KB국민은행 iM뱅크 BNK 부산은행
BNK 경남은행 광주은행 전북은행 👀 한눈에 보기

 

 

 

 


 

 

매월 초 청년도약계좌 신청접수가 가능하지만 조건에 맞는다면 미룰 필요 없이 빠르게 신청하는 게 이득이겠죠?

정부의 지원을 받아 매달 저축만 해도 수천만 원의 자산을 모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자격만 된다면 반드시 신청을 고려해 보시길 바랍니다.

 

📌 지금 내 조건으로 가입 가능한지 확인해 보세요.
📌 목돈 마련의 기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