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제도•혜택

2025년 실업급여 수급기간 및 금액 계산방법 (하한액, 상한액)

by 몽글뭉글 Nara 2025. 5. 10.
반응형

 

 
📢 2025년 실업급여 수급기간과 금액 계산법 완벽정리! 하한액과 상한액은 매년 최저임금과 평균임금에 따라 달라지므로 달라진 기준을 바탕으로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액까지 정리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2025년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어떻게 될까?

   • 연령∙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른 수급기간 안내

● 2025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하는 방법

   • 평균임금이란?

   • 2025년 실업급여 상한액 및 하한액

● 수급기간별 실업급여 계산 예시

 

장기수급자의 경우 늦게 신청 시 소멸될 수 있으니 기간 내 신청은 필수

 

실업급여 신청 바로가기

 

📌 2025년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어떻게 될까?

2025년 기준 실업급여 수급 기간은 연령고용보험 가입 기간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길수록 수급기간도 늘어나며, 연령이 높을수록 더 긴 기간 동안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데요, 현재 기준으로 실업급여 수급기간은 최소 120일~최대 270일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 연령•고용보험 가입기간에 따른 수급기간 안내

고용보험 가입기간 만 50세 미만 만 50세 이상 또는 
장애인
1년 미만 120일 120일
1년 이상 ~ 3년 미만 150일 180일
3년 이상 ~ 5년 미만 180일 210일
5년 이상 ~ 10년 미만 210일 240일
10년 이상 ~ 20년 미만 240일 270일

 
 

예시 

  • 만 30세 직장인 / 고용보험 4년간 유지 ➡︎ 총 150일 실업급여 수령
  • 만 55세 중장년 / 고용보험 4년간 유지 ➡︎ 총 180일 실업급여 수령

→ 같은 조건이라도 연령에 따라 지급 기간이 달라지게 됩니다. 
 

 

📌 2025년 실업급여 금액 계산하는 방법

실업급여의 지급액은 퇴직 전 3개월간의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실업급여 지급금액은 평균임금의 60% 수준이며, 여기에 고용노동부가 매년 고시하는 하한액과 상한액이 적용됩니다.

 

☑️ 평균임금이란?
퇴직 전 3개월간 총 급여(기본급 + 각종 수당)를 근무일수로 나눈 값을 말하며, 이 평균임금의 60%가 실업급여 지급 기준으로 1일 실업급여입니다.

  • 최근 3개월 급여액 ÷ 최근 3개월 근무기간 = 평균임금

예시)
평균입금: 최근 3개월 총 급여 800만 원 ÷ 80일 근무 = 110,000원
1일 실업급여액: 110,000 x 0.6(60%) =  66,000원

 
 

☑️ 2025년 실업급여 상한액 및 하한액

  • 상한액: 1일 66,000원 
  • 하한액: 1일 64,192원 

💡 평균임금이 11만원을 초과하는 경우라도 11만 원까지 평균임금으로 적용! 
     110,000 x 0.6(60%) ➡︎ 66,000원
💡 평균임금이 최저시급보다 낮은 경우에는 최저시급액을 그 수급자격자의 1일 실업급여액으로 적용!
     2025년 최저임금 (10,030원) x 8시간 ÷ 0.8(80%) ➡︎ 64,192원
 
이 기준에 따라 실업급여는 아래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1일 실업급여 = 평균임금 × 60%
단, 이 값은 상한액을 초과할 수 없고, 하한액 미만으로는 지급되지 않습니다.

 
 

 

예시 1

  • 평균임금: 106,000원
  • 1일 실업급여 = 106,000 × 0.6(60%) = 64,800원
  • → 지급액: 64,800원 (상한·하한 범위 내)

예시 2

  • 평균임급: 130,000원
  • 1일 실업급여 = 130,000 × 0.6(60%) = 78,000원 → 상한액 초과
  • → 지급액: 66,000원

예시 3

  • 평균임급: 90,000원
  • 1일 실업급여 = 90,000 × 0.6(60%) = 54,000원 하한액 미만
  • → 지급액: 64,192원

 
 

📌 수급기간별 실업급여 계산 예시

 예시 1) 평균임금 100,000원 / 50세 미만 / 가입기간 2년 → 수급기간 150일

  • 1일 지급액: 64,192원 (100,000원 × 60% = 60,000원 하한액 미만)
  • 총 지급액: 64,192원 × 150일 = 9,628,000원

예시 2)  평균임금 150,000원 / 50세 이상 / 가입기간 11년 → 수급기간 270일

  • 1일 지급액: 66,000원 (150,000원 × 60% = 90,000원 → 상한액 적용)
  • 총 지급액: 66,000원 × 270일 = 20,790,000원

예시 3) 평균임금 80,000원 / 50세 미만 / 가입기간 1년 → 수급기간 120일

  • 1일 지급액: 64,192원 (80,000원 × 60% = 48,000원 하한액 미만)
  • 총 지급액:  64,192원 × 120일 = 7,703,040원

예시 4) 평균임금 80,000원 / 50세 이상 / 가입기간 6년 → 수급기간 240일

  • 1일 지급액: 64,192원 (80,000원 × 60% = 48,000원 하한액 미만)
  • 총 지급액: 64,192원 × 240일 = 15,406,080원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실업급여를 신청할 때 가장 궁금해 하는게 아닐까 싶은데요,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고 헷갈려하는 부분중 하나로 2025년 실업급여 기준을 적용해서 수급기간별 금액 계산을 예시로 작성해 보았습니다. 본인 상황에 맞는 실업급여 총지급액을 미리 확인해 보세요!

반응형